문화 한마당

고택과 고샅길 담장이 아름다운 성주 한개 마을

만년지기 우근 2008. 8. 8. 02:27
고택과 고샅길 담장이 아름다운 성주 한개마을



성주군 월항면 대산1리에 있는 한개마을은 2007년 12월 31일 국가지정문화재 중요민속자료 제255호로 지정된 성산이씨 집성마을로 600여 년의 명맥을 이어왔을 뿐만 아니라 전통가옥과 그 가옥을 둘러싸고 있는 담장이 옛 모습을 유지하지면서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조선 세종대에 진주목사를 역임한 이우(李友)가 처음 입향하여 개척하였고 현재는 그 후손들이 모여 생활하고 있다. 17세기부터 많은 과거합격자를 배출하였으며, 북비공 돈재 이석문(1713~1773), 응와 이원조(1792~1871), 한주 이진상(1818~1885), 대계(한계) 이승희(1847~1916) 등은 이 마을에서 배출된 대표적인 인물이다.

'한개'라는 마을 이름은 예전에 이곳에 큰 나루가 있어 붙여진 이름. '한'은 크다는 뜻이고 '개'는 개울이나 나루를 의미하는 말로 '한개'라는 이름은 곧 '큰 개울', 또는 '큰 나루'를 의미하는 순우리말이다. 뒷산인 영취산 줄기가 마을을 감싸고 하천이 마을 앞을 흐르고 있는  전형적인 배산임수형으로 이곳은 옛날부터 영남 제일의 길지(吉地)로 꼽혀왔다.

경상북도 문화재로 지정된 건축물이 9동에 이르고 있으며, 건축물의 대부분이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초반에 걸쳐 건립되었으나, 전체적인 마을구성이 풍수에 따른 전통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상류주택과 서민주택의 배치 및 평면도 지역적인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마을 입구에서 두 갈래로 갈라져 마을 안쪽으로 안내하는 안길과, 안길에서 집집을 연결하는 샛길의 담장은 유난히 높고 출입구가 폐쇄적이라 밖에서 안을 들여다보기가 어렵다. 또 안길과 집들의 대문이 바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일가친척이 공동체를 이루어 살고 있지만 집집마다 나름의 프라이버시를 지키려는 양반선비들의 자존심과 집을 독립된 하나의 소우주로 영역화, 폐쇄화 하려는 의도가 숨어있다.

구불구불 3천300m나 이어지는 고샅길 담장을 쌓은 수법도 특이하다. 흙돌담이긴 하지만 전반적으로 높은 비율의 황토반죽에 크기, 색깔, 모양이 제각각인 자연석을 박은 담장모습이다. 언뜻 무질서해 보일 수도 있지만, 멋스럽고 자연미가 흘러넘친다.




1. 교리댁
동계 이석구(東溪 李碩九)가 영조 36년(1760)에 세운 건물로 가장 오랜 내력을 지니고 있다. 집의 이름은 현손 이귀상이 홍문관 교리를 역임한 것에서 연유한다.




2. 응와종택(북비고택, 대감댁)
사도세자의 호위 무관이던 이석문이 1774년에 터전을 잡은 집이다. 그는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혀 죽을 위험에 처하자 이를 잘못된 것이라고 간(諫)하여 막고자 했으나 오히려 관직을 삭탈당하고 낙향했다. 지금의 터에 집을 세우고 사도세자를 그리워하며 북쪽으로 사립문을 내고 평생을 이곳에서 은거하며 지냈다. '북비'와 관련된 후일담도 전해온다. 이석문의 후손이 문과에 장원급제했을 때 정조는 "너희 집에 지금도 북비(북쪽으로 낸 대문)가 있느냐?"고 친히 물었다. 정조로서는 선친인 사도세자를 충성스럽게 모셨던 신하의 집안 안부를 물은 것이다.

집의 명칭이 북비인 것은 북쪽으로 낸 사립문에서 유래됐다. 그 후 서재로 이용되었다.
북비고택은 ‘응와종택’, '대감댁'으로도 불린다. 이는 조선 말 공조판서를 지낸 응와 이원조(李源祚)가 1866년 중수하여 살았던 연유에서다.





3. 월곡댁
1911년 이전희(李銓熙)가 집을 지었고 1930년 가묘(家廟)와 별당(別堂)을 증축한 것이다. 소실을 위해 집속에 또 다른 집을 지은 특이한 구조로 20세기 초 목조건축의 수법을 살필 수 있다.




4. 한주종택
한개마을의 가장 안쪽 산울타리에 자리를 잡고 있는 이 집은 1767년에 처음 지었고, 성리학자인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이 고쳐지었다고 한다. 그의 호를 따라 한주종택으로 부른다. 한주종택은 한주정사라고 하는 정자가 있는 일곽과 사랑채와 안채가 있는 일곽으로 나누어진다.




이곳은 조선 6대 성리학자이자 조선 후기 3대 성리학자로 심즉리설(心卽理說)을 정립해 한주학파를 이룬 한주 이진상(1818~1886), 그의 아들 대계 이승희(李承熙:1847~1916), 또 대계의 아들 삼주 이기원(李基元)의 3대가 성리학을 연구하고 가르쳤으며 일본과 싸우는 독립정신을 키워 만주 벌판에서 투쟁한 대계의 혼이 자랐으며 대계의 제자이자 탁월한 독립운동가인 심산 김창숙(心山 金昌淑)의 혼이 무르익었던 곳이다.

한주 이진상은 59세이던 1876년 운양호 사건으로 병자수호조약이 이룩되자 망국의 징조를 느끼며 의병을 일으키려고 동지들을 규합하다 이루지 못한 일이 있었다. 실천적 성리학자 이진상은 조국의 안위를 잊은 적이 없었기에 그런 혼이 아들과 제자들에게 전승되어 우국의 뛰어난 학자들이 배출될 수 있었다.

한주 이진상의 대표적인 제자를 '주문팔현'이라 일컫는데, 그 중에서도 면우 곽종석(郭鍾錫)과 그의 맏아들 대계(大溪) 이승희(李承熙)가 유명하다. 곽종석은 l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조약 폐기와 조약 체결에 참여한 매국노를 처형하라는 상소를 올렸다. 또 3·1운동 후 '제1차 유림단 사건'이라고 일컬어지는 '파리장서사건'을 주도했다가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대계(한계) 이승희는 국채보상운동에 참여, 서상돈과 모금운동을 벌이다가 친일파의 방해공작으로 실패하고 고종 양위사건이 발생하자 1908년 블라디보스토크로 망명, 이상설 등과 함께 동포들의 교육과 독립운동에 헌신하였다. 결국 풍찬노숙의 고난을 겪다가 끝내 고향에도 돌아오지 못하고 낯선 타국에서 70세의 나이에 세상을 뜨고 말았다.

뒷날 스승 한주 이진상의 묘지명(墓誌銘)을 지은 큰 유학자인 회당 장석영도 스승의 사상을 이어받아 중국으로 망명하여 독립운동에 투신하였다.



5. 하외댁

한개마을의 중심에 자리 잡은 조선후기 양반가로 현 거주자의 조부가 구입하여 자손들이 살고 있어 정확한 건립연대나 내력은 알 수 없다. 1630년대의 건물로 추정된다. 택호는 소유자의 부인이 안동 하회에서 시집온 데에서 연유한다.




※길안내
* 경부고속도로 - 왜관 IC - 월항면 소재지 - 한개마을(30분소요)
* 구마고속도로 - 성서 IC - 선남면 신부리 - 한개마을(30분소요)


                                                                                      (2008년 8월 1일 다녀왔습니다.)



top

'문화 한마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문묘   (0) 2009.06.10
[스크랩] 유치환의 둔덕골과 통영의 깃발·행복  (0) 2008.11.12
충북 보은 속리산 법주사  (0) 2008.07.28
용정 용주사 이야기모음  (0) 2008.07.27
선구자  (0) 2008.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