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나를 울린 한국전쟁 100장면` 중 눈빛 출판사가 제공한 사진 14 장면 *'나를 울린 한국전쟁 100장면' 중 눈빛 출판사가 제공한 사진 14 장면 탱크를 배경으로 동생을 업고 서 있는 소녀, 머리는 헝클어 지고 옷차림은 남루하지만 굳게 다문 입과 결의에 찬듯한 눈매에 절망의 그림자는 찾을 수 없읍니다. 어머니는 일터로 나가고 없고, 혼자 남겨 둘 수 없는 동생을 안고 학.. 문화 한마당 2007.07.23
[스크랩] 불국사의 옛모습..이럴수가.. 오늘도 우리를 실망시키지 않으시는구려! 너무 우아하다. 다른 여배우들과는 차별화된 아름다움이 느껴져 좋아!좋아!!!! --> 불국사는 1592년 임진왜란 때에 목조 건물이 모두 불타고, 1604년부터 150년간에 걸쳐 조금씩 복고와 중수가 계속되었지만 조선 말기에 이르서서는 퇴락의 길을 걸었습니다. 1923년.. 문화 한마당 2007.07.23
[스크랩] 7000년 전엔 해남도 있었다 - 문화재 야화 [1] 7000년 전엔 해남도 있었다 문화재 야화 [1] 바다 속에서 해삼이나 전복을 따는 여자를 해녀(海女)라고 한다. 그러나 해남(海男)이라는 말은 없다. 선천적으로 여자들이 물질을 잘해서일까? 신석기시대를 기준으로 한다면 물질은 여자만의 몫은 아니었다. 7000여 년 전 한반도 남부에서는 남녀 가릴 것 없.. 문화 한마당 2007.07.23
[스크랩] ‘저승길 노잣돈’ - 무령왕릉의 오수전 - 문화재야화(夜話) [2] [문화재야화(夜話)] 90여개 발견… ‘저승길 노잣돈’ 무령왕릉의 오수전 저승길 노잣돈이라는 말이 있다. 저승길 편히 가라고 상여 등에 꽂아 넣는 돈이다. 이 돈은 상여꾼들이 수고비 조로 가져가는 경우가 많다. 고고학적으로 본다면, 우리나라에서 저승길 노잣돈의 역사는 거의 2000년에 가깝다. 또.. 문화 한마당 2007.07.23
[스크랩] 임금님은 ‘대장장이’ - 문화재야화… [3] 황남대총의 철집게 임금님은 ‘대장장이’ 문화재야화… [3] 황남대총의 철집게 삼국시대 초기 상류층 상징 7세기 중엽부터 지위 추락 ‘사기꾼 대장장이’가 왕이 됐다?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에 따르면 신라 4대 임금 탈해왕(서기 57~80년)은 ‘사기’를 쳐서 남의 집을 빼앗았다. 배 타고 먼 나라(삼국사기에는 ‘다파라.. 문화 한마당 2007.07.23
[스크랩] 한국에서도 석기시대 ‘비너스상’ - 문화재야화 [4] 신석기시대 비너스상 한국에서도 석기시대 ‘비너스상’… 문화재야화 [4] 신석기시대 비너스상 얼굴·다리는 파손됐지만 여성스럽고 사실적 지난 21일 서울 올림픽공원 역도경기장에서 ‘2007 미즈코리아 선발대회’가 열렸다. 남성 이상의 근육을 자랑하는 여성들의 경연장이었다. 여성의 육체미 자랑은 분명 ‘현대성.. 문화 한마당 2007.07.23
[스크랩] 신무기 경연장 제1차 세계대전 신무기 경연장 제1차 세계대전 기관총, 탱크, U보트, 독가스 과학에도 혼이라는 것이 있다면 끊임없이이 탐구하는 것을 일컬을 것이다. 대륙이 매년 1-5cm씩 움직인다는 것을, 아무리 쪼개려 해도 더 이상 부서지지 않는 원자 속에 수많은 양성자와 중성자가 웅크리고 있다는 것을 그리고 빛도 공간에 따.. 문화 한마당 2007.07.23
[스크랩] 풍수지리 고수는 이런 집에 산다 풍수지리 고수는 이런 집에 산다 전남 장성 축령산, 동양학자 조용헌 씨의 집 “선몽(先夢)을 꿨어요. 꿈에 어떤 집이 나오는데 어디선가‘이게 네 집이다’ 하는 소리가 들리는 거예요. 며칠 후 이곳에 사는 지인이 좋은 집이 나왔다며 보러 가자는 거예요. 와서 보니 꿈에서 본 바로 그 집이었습니다... 문화 한마당 2007.07.23
[스크랩] 백범 김구선생의 장례행렬 [3,1절 특집화보] " 백범 김구선생님이 안두희의 흉탄에 쓰러져 떠나시던 날" [3·1절 특집 화보] "백범 김구선생님 떠나시던 날" 이 사진은 2004년 2월 27일 미국 워싱턴 근교 메릴랜드 국립문서기록보관청(NARA) 2층 문서 자료실에서 조사반원(팀장 이선옥씨)들이 미 육군정보파일을 열람하던 중 발견한 것.. 문화 한마당 2007.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