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서울시 여행

[스크랩] 우담바라가 피었다는 청계산 청계사

만년지기 우근 2007. 10. 1. 13:23


                                            수도서울의 남쪽에 위치한 청계산(618m)은 관악산(603m)과 함께

                                            서울을 지켜주는 "좌청룡 우백호"의 명산이다.

                                            불을 상징하는 관악산이 전형적인 암산(바위산)인데 비해,

                                            청계산은 산세가 부드러운 육산(肉山)으로서 수도권 시민들이 즐겨 찾는다.


                                            그러나 청계산은 두 개의 얼굴을 가지고 있다.

                                            양재인터체인지를 지나 경부고속국도로 접어들 때 오른쪽으로 보이는 청계산은 순한 육산이지만,

                                            과천 서울대공원 정문 부근에서 바라보는 청계산 정상인 망경대 주위는

                                            바위로 이루어져 있어 위압감을 주기도 한다.


                                            청계산의 남서쪽 중턱에 자리잡고 있는 "청계사"는 통일신라시대 때 처음 창건되었다가

                                            고려 충렬왕 10년 (1284) 시중 조인규에 의해 중건된 사원으로,

                                            과거 고려 말 명신이었던 조윤(趙胤)이 이태조의 반역을 욕하면서

                                            분연히 송도를 떠나 입산했던 곳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조선 시대 연산군이 도성 내에 있는 사찰을 없애고

                                            이곳에 사찰을 세우자 불교 측에서는 이곳을 선종의 본산으로 정하였다고 한다.

                                            현재 절의 모습은 1955년 이후 역대 주지수님들의 중수로 이루어진 것이지만

                                            사원 규모와 사찰의 배치는 조선시대에 틀이 잡힌 것이다.


                                            경내에는 조선 숙종 15년(1689)에 세운 청계사 사적비가 있고,

                                            조선후기의 건물로 보이는 극락보전이 있다.

                                            이밖에 지방문화재로 지정된 동종과 탱화, 삼존불상이 있다.


                                            지금까지 청계산은 수 차례 올랐지만

                                            모두 과천 또는 경부고속국도 인근의 옛골(또는 윈터골)에서

                                            산행을 시작해 능선을 타고 다녔기에 청계사로 내려서지는 못했다.

                                            이번에는 지나가는 길에 일부러 시간을 내어 청계사 답사에 나섰다.

                                            백운호수 방향에서 승용차를 이용하여 청계사 이정표를 따라 한참을 들어가니 사찰 아래에 닿는다.


                                            제일 처음 보이는 것이 커다란 청계사 표석인데

                                           "우담바라 핀 청계사"라고 표기되어 있는 것이 무엇보다도 눈길을 끈다.

                                           우담바라(산스크리트어)는 불교경전에서 말하는 꽃으로,

                                           인도에 나무는 있지만 평소에는 꽃이 없다가 3000년마다 한 번,

                                           여래(如來)가 태어날 때나 전륜성왕(轉輪聖王)이 나타날 때에만

                                           그 복덕으로 말미암아 꽃이 핀다고 하는 전설의 꽃이다.

                                           그 꽃이 정말로 청계사에 피었단 말인가!

 

 

                                                우담바라 꽃이 처음 우리나라 사찰에 등장했을 때,

                                                불자들이 이 상서로운 꽃을 보기 위해 전국에서 몰려들었다는 뉴스를 본 기억이 난다.

                                                그 당시에 많은 사람들이 그 꽃을 보며

                                                부처님의 은혜로 생각하고 간절하게 기도하며 발원했던 것이다.

 

                                                그러던 것이 우담바라가 전국 각지의 사찰에서 피어나고

                                                심지어는 동네에서도 발견되자 동식물학자들이

                                                이 꽃은 우담바라가 아닌 풀잠자리의 알이라고 해서 씁쓸한 웃음을 짓게 하였다는 에피소드도 있었다.

 우담바라(풀 잠자리 알)<사진제공 : daykorea>

 

 

 우담바라<사진제공 : 달님>

 

 

 양산천불사 우담바라

(경향신문 2007. 9. 6)

 

 

                                                그래서인지 『다음사전』에서도

                                               "한국에서는 풀잠자리의 알을 가리켜 우담바라라고 하는 사람도 있다"고 설명할 정도다.

                                                그러므로 청계사에 핀 꽃도 풀잠자리의 알이었는지 모르겠다.

                                                그러나 실제로 우담바라가 피었던 풀잠자리의 알이었던 그게 무슨 대수인가.

                                                일반 중생들이 그것을 우담바라로 믿고 주변과 불법의 인연을 소중하게 생각하고,

                                                새로운 발원으로 부처님의 가르침을 새기며,

                                               불심을 돈독히 하면서 내세의 복을 빈다면 그것으로 족할 것이다.


                                               위로 오르니 오른쪽에 청계사 사적비와 불사를 일으킨 공덕비가 무리를 지어 서 있다.

 

 

 

 


                                                    가파르게 조성된 돌 축대를 오른다.

                                                    일주문과 사천왕문이 없는 대신 축대 양편에는 사천왕상이 오가는 중생들을 굽어 보살피고 있다.

 

 

 


                                              계단을 오르니 좌측에는 식당, 우측에는 종무사무소로 이용되는 건물이 보이는데,

                                              좌우 대칭형으로 지은 것이 특이하다.

식 당(좌측) 

 

 종무소(우측)

 


                                                 다시 돌계단을 오르니 중앙에는 식수대가 있는데,

                                                 부처님 오신날이 지난 지 오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연등이 그대로 걸려 있어 사찰의 분위기를 고조시키고 있다. 

 

 


                                                  위쪽에는 본법당인 극락보전이 있다.

                                                  법당 안에는 황금색의 삼존불과 색상이 매우 고운 탱화도 걸려 있다.

극락보전 

 

 

 삼존불

 

 탱 화

 


                                                   극락보전 옆에는 청계사 동종(보물 제11-7호)이 보인다.

                                                   조선 숙종 27년(1701)에 제작된 이 동종은 조선 후기 범종의 대표적인 것으로

                                                   종을 거는 고리가 중국종이 특징인 쌍룡으로 되어 있고,

                                                   종의 명문에 사당패가 언급되어 있어 조선 후기 사원경제적인 측면에서

                                                   절과 사당패의 관계를 짐작해 볼 수 있는 사료로서의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한다.

 동종각앞의 할머니와 이이들

 

 쌍룡으로 만든 동종의 고리

 


                                                   지장전을 돌아가면 넓은 공터의 언덕에 큰 와불(臥佛)이 조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와불은 목재 또는 금속으로 제작하나

                                                   이 와불은 반들반들한 돌맹이로 외관을 마무리한 것이 매우 특이하고 그래서인지 친근감이 든다. 

 

 

 


                                                 극락보전 뒤의 축대 위에는 수많은 부처님상이 전시되어 있다.

                                                 근엄한 모습의 부처님으로부터 익살스런 표정의 동자승에 이르기까지

                                                 각양각색의 불상이 있어 웃음을 자아내게 한다.

                                                 이 불상들은 청계사 입구에 사람들이 놓아두고 간 것을 수거하여

                                                 이곳에 전시하고 있다는 안내문이 게시되어 있다.

 

 

 

 

 

 

 

 


                                                        청계사를 거쳐 정상으로 연결되는 등산로도 있으므로

                                                        사찰도 답사하고 청계산도 오르면 일석이조가 될 터이다.

                                                        (2007. 9. 23).     
  

 


 

출처 : 펜펜의 나홀로 산행
글쓴이 : pennpenn 원글보기
메모 :